지금까지 여수경제는 여수산단의 대기업들이 큰 줄기를 만들어가는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의 정책도, 대부분의 여론도 대기업이 주도해 왔고, 지역의 중소기업은 그저 이에 따라가는 형국을 취해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수경제를 이끌어가는 핵심동력은 몇몇 대기업이 아니라 지역의 중소기업이라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장치산업이 대부분인 산단 대기업에서의 일자리 만들기는 이제 일정한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그리고 서울에 본사를 둔 여수의 대기업들도 그 이윤의 대부분을 서울로 되돌려 가져가는 상황을 우리는 지금까지 수십년 동안 묵묵히 목격해 왔다.

국가경제와 마찬가지로 지역경제에도 '고용 없는 성장'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산단 경기는 좋은데 일자리가 늘어나지 않으면 지역경제에도 별 보탬이 되지 못한다.

이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중소기업 활성화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우리나라 고용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안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 1조원의 매출이 필요한 분야가 있다고 치자. 이를 한 회사가 모두 독차지하면 사장은 1명이고 고용은 많아야 1000명이다.

그런데 100억짜리 회사가 100개 있다면 사장은 100명 있고 고용은 수천명 이상이 될 수 있다.

효율성만 보면 1개 회사가 독차지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고용의 관점에서 보면 100개 중소기업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것이 사회발전에 더 유리하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사회 모두의 시선을 대기업에서 지역의 중소기업으로 돌려, 지역경제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 한계는 있다. 여수지역 중소기업은 자산규모와 종업원 수, 그리고 규모면에서 여전히 취약한 구조를 안고 있다. 그래서 지역이 이들 중소기업을 도와주면서 보듬고 가야 한다.

지금처럼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사업이 외지 기업들을 배불리게 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중소기업이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지역 내 대기업의 물품 구매도 지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지금 산단 내 대기업들의 상당수가 지역에서 얼마든지 구입할 수 있는 사소한 물품까지도 서울에서 조달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누구 하나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못한다. 지금부터라도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이유다.

이러한 고민과 더불어 지역경제를 위해 노동시장의 유연성 증대 등 노사관계 선진화 노력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수’하면 강성노조가 떠오르는 폐단도 우리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대목이다.

저작권자 © 뉴스탑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